728x90
반응형

NDC 25

[NDC22-메타버스&NFT] 플레이의 미래

https://youtu.be/nZHjrDggLGo 뇌는 세 가지를 탐한다. 게임은 그 세 가지 탐닉을 채워준다. 1. 시간을 갉아먹는 헛짓거리 2.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한 가상의 피난처 3. 가성비 높은 건전한 놀이 4. 상호작용이 가능한 디지털 예술 5. 사회를 혁신하는 동력 게임 X 메타버스 = 연결 1. 디지털 현실과 물리적 현실을 연결 '디지털 현실' 2. 재미와 의미를 연결 - 현실에 많은 곳곳에 의미에 재미를 더해주는 씬이 많이 나올 것 같다고 예상 3. 플레이어와 안티 플레이어를 연결 우리는 플레이를 창조한다. 그 플레이는 세상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는 우리가 창조하는 플레이에 책임감을 가져야 함

[NDC22-프로그래밍] 테스트자동화 도구 개발 생존전략

QAMate AutoFlow 각각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 노드들의 흐름을 연결해주는 "엣지" 노드와 엣지들이 모여서 만드는 일련의 과정 "플로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함수화하는 기능 제공 다양한 요구에 맞춰서 만들어진 특별한 기능을 가지는 노드 존재 결론 -> 지원도구 개발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NDC22-커리어] 언젠가 시니어가 될 주니어를 위하여

1. 시니어가 되어야 하는 이유 : 프로그래머는 구현만 잘하면 되는거 아님? 이상적인 프로그래머란? - 요구사항을 꼼꼼히 읽고 스스로 사양을 파악해서 - 꼼꼼히 구현해 낼 수 있는 사람 "맥락을 내가 정리해서 들고 가야함" 사실은 이슈 정리하는게 힘들다 (서류 작업이 힘들다) - 하지만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설계 없이 코드를 수정해버린다면? -> 응.. 아에 갈아엎어~ 2. 구체적인 실천 팁 타 직군 기획자분이 물어보시면.. 기술적인 얘기 줄이기 (어쩌피 관심없음, 뭔 말인지 모름) 물어보러 왔다? -> 문제가 있었나? 로 생각해보기 이야기가 끝나면 어떠한 '결과'가 있어야함 ㄴ 해결이 되었는지, 해결을 할 계획이 있는지, 신경을 아에 안 써도 되는지... "평소에 일이 얼마나 걸리는지, 일감을 리스트로..

2022 NDC/커리어 2022.08.22

[NDC22-메타버스&NFT]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올 게임의 미래

- 본 게시글은 영상을 보면서 개인적으로 메모한 내용입니다. 블록체인 - 부정적, 사행성 논란, 퀄리티 논란 - 거품, 모두가 P2E 그래도 가능하지 않을까? -> 게임의 역사는 부정적인 인식과 싸워옴 게임의 경험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도화 --> 블록체인 기술도 게임 경험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지 않나? 1. NFT로 인해 본인의 소유권 주장 가능 메타버스 경제 시스템 구축 2. 플레이어와 커뮤니티가 게임을 소유하는 경험 3. P2P 네트워크 지원 -> 섭종 없는 온라인 게임 Axie Infinity 게임. MetaRPG 게임 프로젝트. 'Solana'기반의 Aurony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중요 게임 예시 1. 나인 크로니클 - 오픈 소스 프로젝트 - 모딩 개발 - Referral 보상 2. 스텔라 ..

[NDC22-게임기획] 우아한 게임플레이란 무엇인가

● 발표분야: 게임기획 ● 발표자: 터틀 크림 박선용 / Turtle Cream Sun Park ● 권장 대상: 게임 디자이너, 소규모 게임 개발자 ● 키워드: #게임_디자인 '기존에 없던 게임플레이 만드려고 애쓰는 사람' 새로운 것을 다루는 방법에서 '아름다운 게임 플레이'가 나온다 우아한 게임 =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새로운 경험 게임 디자인 대들보 = (아마도) 절대 변하지 말아야할 것들을 정해두고, 문제를 발견했을 때 해결 방향의 키로 삼는다 새로운 것을 만드는 건 쉽지만 새로운 것을 재밌는 것으로 만드는 게 어렵다 이 새롭고 멋진 걸,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함 설명 없이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잘 정제된 새로움'에서 우아함이 나온다

[NDC22-프로그래밍] 리니지: 거울전쟁

● 발표분야: 프로그래밍 ● 발표자: 엔씨소프트 한태경, 박현수 / NCSOFT Tea Kyung Han, Hyunsoo Park ● 권장 대상: AI Engineer ● 키워드: #포스트모템 #강화학습 #AI_라이브_서비스 1. 리니지 : 거울전쟁 소개 2. 강화학습에서 도전과제와 해결방법 2-1 계층형 의사결정 구조 - 기존대로 하면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짐 - 강화학습을 하기 위해 많은 자원이 필요하게 됨 - 복잡한 지형때문에 장거리 탐색이 힘듦 2-2 고수준 액션 사용 2-3 AI 행동 조정 --------- Hierarchical RL을 이용한 고수준 policy 학습 필요 - HRL은 이 문제에 대한 대표적인 방법 - 배치 policy 관련 많은 문제는 기계학습/강화학습 기술로 완화 가능 3...

[NDC22-커리어] 팀원에서 바로 스타트업 대표로

● 발표분야: 커리어 ● 발표자: 샤인게임즈 강기성 / ShineGames Kisung Kang ● 권장 대상: 창업에 관심 있으신 분 ● 키워드: #스타트업_운영 #게임_개발 #창업 스타트업 대표 - 높지 않은 연봉.. 퇴근이 없다.. 무거운 책임.. 창업은 누구나 할 수 있다 - 계획이 중요 - 투자도 잘 받아야함 - 위기를 잘 넘어가야함 1. 창업에 필요한 3가지 : 누울 자리 봐 가며 발을 뻗어라 - 핵심 멤버 찾기 - 설립을 위한 자본금 - 같이 일할 공간 '공간' 2. 투자 유치 어떻게 해야 될까요? - 대표에 따라서 다르다 - VC가 알려주는 스타트업 투자유치 전략

2022 NDC/커리어 2022.07.06

[NDC22-커리어]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 발표분야: 커리어 ● 발표자: 데브캣 이승재 / devCAT Seungjae Lee ● 권장 대상: 직책자 ● 키워드: #매니지먼트 개발 직군 심임 직책자를 위한 피플 매니지먼트 개론 직책자는 어떤 일을 하는가? - 피플 매니지먼트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 테크니컬 디렉팅 - 프로세스 개선 - 제품 디렉팅 - 실무 직책자에게는 사람을 상대하는 스킬이 필요하다 - 저의 실수와 고통을 통해 얻은 깨달음 - 그때 누군가 나에게 알려주었더라면 좋았을 것들 1. 내가 맡은 팀 전체의 성과가 곧 나의 성과다 - 기대되는 성과의 정의가 넓어지고 추상적으로 변한다 -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 상위 직책자와 정기적으로 상의하기 - 한정된 것을 효율적으로 집중해줘야함.. - >> 사람을 잘움직이는 것 하이 아웃..

2022 NDC/커리어 2022.07.05

[NDC22-프로그래밍] 'New State Mobile' 글로벌 서비스 도전기

● 발표분야: 프로그래밍 ● 발표자: 크래프톤 송민욱 / KRAFTON Minuk Song ● 권장 대상: 서버 프로그래머, DevOps, SRE ● 키워드: #클라우드 #글로벌_서비스 #쿠버네티스 글로벌 서비스 도전기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50개로 글로벌 서비스하기- 1. 멀티 클라우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이유 - 세션 기반 게임 : 인게임 플레이가 일어나는 세션 서버와 아웃게임 플레이를 하는 서버로 분리된 형태의 게임을 뜻함 - 주로 전략 시뮬레이션이나 FPS - 세션 서버와 사용자가 가까워야함 - 표를 보면 알다시피, 한 클라우드로 모든 지역을 사용할 수 없음 - 특정 지역에 사용자가 많은 게임이라면 그 지역에 많은 서버가 있는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 - 정의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

[NDC22-프로그래밍] Walk Lizzie, walk!

● 발표분야: 프로그래밍 ● 발표자: 엠바크 스튜디오 조지 델 발 산토스 / Embark Studios Jorge del Val Santos ● 권장 대상: All levels of AI/Gameplay/Animation programmers and technical animators will probably gain the most value from this talk, although no major prior knowledge is required. ● 키워드: #Machine_Learning #Animation #Reinforcement_Learning #Deep_Learning #Physics 강화 학습을 통한 임의의 생명체의 물리 기반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본 강연의 목적은 누구나 이렇게 살아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