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Blueprints 17

[Unreal/BluePrints] 멤버 변수와 멤버 함수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설계도 데이터 로직 두 가지로 구분한다 스폰 이벤트 그래프 언젠가 이 설계도를 이용해 가지고 객체가 실체화 되서 만들어지게 되면은 그 객체는 무언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일종의 약속 멤버 변수를 선언할 때는 메모리에 신경을 써서 만드는 것이 좋지만 멤버 함수는 딱히 그렇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메모리 상으로 얘네는 실제로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 코드 영역으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Unreal/BluePrints] 블루프린트 클래스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진짜 중요! 객체 지향에 대해서.. Map에 있는 오브젝트를 클릭하고 레벨 블루프린트에 들어가면 이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만들 수 있음 신기한 다른 창이 나옴 !! 블루프린트 클래스라는 개념은 하나의 설계도다 !! 하나씩 만들면 수정사항이 생길 시 하나씩 다시 수정해주어야 하지만 설계도에 따라서 오브젝트를 만들면 배치되어 있어도 설계사항만 수정해주면 수정이 된다! 여기에도 ‘이벤트 그래프’라고 레벨 블루프린트를 넣어줄수가 있는 공간이 있다

[Unreal/BluePrints] Array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이전 설명처럼 블루프린트 상에서는 동적 배열에 해당 즉 뭔가 연속된 공간을 사용하는 건 맞지만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변수 Numbers를 만들고 디테일에서 변수를 누른다 바뀌는 것 확인 +버튼을 눌러서 추가할 수 있다 할 수 있는 것이 많음 참조와 복사 배열 0,1,2의 값 1,2,3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length 또는 count로 배열의 길이를 알 수 있음 아니면 for loop를 돌리는 방법이 존재함 값을 추가해주는 add도 있음 addunique → 추가하는 애가 있으면 추가안함! 내가 찾고하는 것의 몇 번째 인덱스인지 → find 값 → contains

[Unreal/BluePrints] 동적 배열 이론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선형 구조 → 은행에 가서 줄을 서서 대기표를 받는다 비선형 구조 → 지하철 노선도 배열과 동적 배열의 차이 배열이라는 것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 305, 306호까지 여유분의 방을 예약 나중에는 여유분의 방이 많아서 안정적이게 될 수 있음

[Unreal/BluePrints] 복사와 참조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중요한 개념 swap a의 b의 값을 swap시켜줄 경우 temp라는 임시 거처를 만들어서 바꿔주어야한다 A → temp B → A Temp → A 이 기능을 함수로 만들어보자! MySwap 함수를 만든 뒤 매개변수를 만들어주고 로컬 변수에 Temp를 입력해준다 왜? 중간에 임시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함수를 만들어주었으면, 다시 레벨 블루프린트로 돌아와서 MySwap을 만들어주고 A와 B의 값을 연결한다 여기서의 A,B의 값과 함수의 A,B는 관련이 없다 하지만 레벨 블루프린트에서 실행해보면 값이 바뀌지 않는다.. 왜냐 여기에서의 A , B는 함수 내부에서의 ..

[Unreal/BluePrints] 로컬 변수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로켤 변수 = 지역 변수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다 함수 → 독립적인 공간 지역 변수 같은 경우에는 100개나 1000개나 소멸되고 만들어지기 때문에 메모리에 대해서 자유롭다 함수 내부에서 잠시 사용할 변수 → 지역 변수 지역 변수는 딱 함수가 실행이 되는 동안에만 유효하고 함수가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되기 때문에 밖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함 그리고 스택 메모리에 올라가면 함수가 임시적으로 자기가 사용하는 결과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 매개변수로 넘긴 값들도 사실 스택에 들어간다

[Unreal/BluePrints] 함수 기초

인프런에서 rookiss [입문자를 위한 UE5] Part1.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내 블루프린트에 있는 함수는 C++에서 말하는 멤버 함수에 해당함 그래서 콘텐츠 브라우저-우클릭-블루프린트=블루프린트 함수 라이브러리를 들어간다 함수 하나가 덩그러니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게 static(정적) 함수로 만들어져 있다 이렇게 지정하고 기존 블루프린트(함수X)에서 함수를 호출해주면 정수 2개를 입력할 수 있는 함수가 생긴다 New Function에서 왼쪽은 입력값 / 오른쪽은 출력값임을 확인 반복되서 사용하는 코드를 함수로 만드는 것이 제일 좋음 단발성은 X

728x90
반응형